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항공기 무기

북한군 계급체계 상장, 상좌, 대좌, 중좌, 전사, 복무기간

by 김무야호2 2024. 1. 29.

목차

    북한군 계급체계 상장, 상좌, 대좌, 중좌, 전사, 북한군 복무기간

    북한군 계급체계는 깊은 역사와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북한군의 계급은 원수급, 장령급(장성급), 군관급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북한군은 계급을 '군사칭호'로 호칭하고 있으며, 1952년 12월 31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 제정된 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쳐 현재까지 발전해 왔습니다.

    김일성 전주석부터 시작된 원수급의 계급 구조는 북한군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계급체계는 군사적인 조직과 효율적인 지휘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다양한 계급들이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북한군 계급체계북한군 계급체계
    북한군 계급체계

    북한군 원수급

    원수급은 북한군에서 가장 높은 계급입니다. 원수급에는 '대원수', '원수', 그리고 '차수'가 포함됩니다. '원수' 계급은 6·25 전쟁 당시 최고인민회의 결정에 따라 김일성 전주석이 최초로 부여받은 계급입니다.

    • 대원수: 대원수는 북한군의 최고 지도자를 가리키는 칭호입니다. 김일성 전주석이 1992년에 대원수로 추대되었습니다.
    • 원수: 원수는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이을설 호위사령관 등 군의 중요한 인물을 가리키며, 현재 2명이 이 계급에 속해 있습니다.
    • 차수: 차수는 북한에서 고유한 군사 칭호로, 최용건과 오진우 등에게 수여되었습니다.

    북한군 장령급

    장령급은 대장, 상장, 중장, 소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대체로 남한의 군대와 유사합니다. 대한민국 국군은 대장, 중장, 소장, 준장입니다. 대장을 기준으로 보면 상장=중장, 북한군 중장=대한민국 소장, 북한군 소장= 대한민국 국군 준장 수준인 것입니다. 못 사는 주제에 계급 인플레이션만 높아 보이지만, 실제로 북한은 복무기간이 길다 보니, 무기 수준은 처참하고, 육이오전쟁 때 떼 놈들 수준으로 인해전술급으로 병력만 많은 기형적 구조라 그렇습니다. 인간이 많으니, 고위 장교도 많은...

    • 대장, 상장, 중장, 소장: 이들은 북한군에서 중요한 지휘관이나 장교들을 가리킵니다.

    북한군 군관급

    군관급은 좌급군관(영관급)과 위급군관(위관급)으로 나누어지며, 각각 대좌, 상좌, 중좌, 소좌, 대위, 상위, 중위, 소위 등으로 구성됩니다.

    • 좌급군관(영관급): 대좌, 상좌, 중좌, 소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위급군관(위관급): 대위, 상위, 중위, 소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북한군의 대좌, 상좌, 중좌 소좌는 우리 국군의 대령, 중령, 소령에 해당합니다. 쟤네는 4단계고 우리는 3단계죠. 못 사는 나라라라서 한자도 약한지 상중하, 대중소 개념 구분 없이 마구 쓰까 씁니다. 위관급도 마찬가집니다. 우리는 상위라는 계급이 없습니다. 어차피 쟤네는 우리보다 계급이 높아 보여도 월급이 처참합니다. 밑에 거지새끼들만 많으면 뭐 합니까? 구파일방의 거지 개방도 아니고. ㅋㅋㅋ.

    북한군 병사(사병)

    1998년 4월, 일반병의 계급체계가 세분화되어 상급병사, 중급병사, 초급병사, 그리고 전사로 구분되었습니다.

    북한군 사병은 사관과 병사로 나뉘며, 각자 특무상사, 상사, 중사, 하사 및 상등병사, 중급병사, 초급병사, 전사 등의 계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위부 견장이 없다는 것입니다.

    • 사관: 특무상사, 상사, 중사, 하사
    • 병사: 상등병사, 중급병사, 초급병사, 전사

    북한군의 계급체계는 계속해서 변화하고 발전해 왔으며, 이는 북한의 군사력과 지도체제의 변화에 따라 조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계급체계는 북한의 군사 조직과 효율성을 유지하며 국가의 안전과 안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북한군 복무기간

    북한군 징집대상자는?

    북한에서는 군 복무에 대한 용어로 '초모(招招)'를 사용합니다. 이 용어는 조선시대 병조에서 군병을 모집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전시(戰時)에는 17~45세까지 초모 대상이 됩니다.

    애들 ㅄ 같은거 봐라 낄낄낄

    북한군 복무기간은 어느 정도의 기간일까?

    1958년 내각결정 148호에 의해 북한의 지상군(육군)은 3년 6개월, 해·공군은 4년으로 규정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5~8년 간 복무하였습니다. 1993년 4월부터는 김정일 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만 10년을 복무해야 제대할 수 있는 '10년 복무 연한 제'를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1996년 10월에는 군 복무 조례를 변경하여 사병들의 복무 연령을 남자는 30세, 여자는 26세, 여자 군관은 28세로 연장하였습니다. 그러나 2003년에는 군사복무법이 제정되어 남녀 군 복무기간이 재수정되었습니다.

    현재 북한군 복무기간의 경우 남성은 최장 10년, 여성은 최장 8년의 군 복무기간을 갖습니다.

    남한의 군 복무기간은?

    2018년 문재인 정부의 국방개혁안 '국방개혁 2.0'에 따라 남한의 군 복무기간이 변경되었습니다. 각 군의 병 복무기간이 3개월씩 단축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현재 육군과 해병은 18개월, 해군은 20개월, 공군은 21개월의 복무기간을 갖고 있습니다.

    북한의 군 복무기간은 남성이 최장 10년, 여성이 최장 8년으로 압도적으로 길며, 실제로는 남녀 모두가 17세쯤부터 병역 의무를 이행합니다. 한편, 남한은 최근 국방개혁으로 군 복무기간을 각 군에서 3개월씩 단축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AI가 그린 북한군 여군AI가 그린 북한군 여군AI가 그린 북한군 여군
    AI가 그린 북한군 여군:

    키워드: 북한, 북한군, 계급체계, 원수급, 장령급, 군관급, 사병, 대원수, 원수, 차수, 대장, 상장, 중장, 소장, 대좌, 상좌, 중좌, 소좌, 대위, 상위, 중위, 소위, 특무상사, 상사, 중사, 하사, 상등병사, 중급병사, 초급병사, 전사

    반응형